안녕하세요, 해커스의 주택 관리사입니다.얼마 전 설날을 맞이해서 온 가족이 모인 분들이 많으셨을 것 같아요. 아저씨, 사촌은 알고 있습니다만, 그 이상의 마을 수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고 있었습니까?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마을 수 계산법과 족보에 따른 호칭까지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볼까요? 마을 수 계산마을 수 계산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해요. 먼저 마을 수를 계산하기 위해서 저를 기준으로 가족관계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여기서 마을 수 계산 규칙을 적용하면 됩니다.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규칙 1촌수 계산의 기준은 ‘나’이다.규칙 2 부부간 마을 수는 0이다.규칙 3부자간 마을 수는 1개 마을이다.규칙 4촌은 규칙 2, 3을 통해서만 가한다.자,그럼예시를볼까요?저와 부모님의 촌수는 어떻게 될까요?아주 간단하네요.규칙 3을 적용하시면 됩니다.즉 부모님은 저와 1촌입니다.그럼 제 형제와의 촌수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형제끼리도 1촌인가요?안타깝게도 규칙 4에 따라 형제는 직접 마을 수를 계산할 수 없으며 규칙 2, 3을 통해 접근해야 합니다.일단 형제가 되려면 규칙 3을 통해 부모님께 올라가야 합니다.그러면 한 치입니다. 그리고 다시 부모님에서 제 형제로 이동하면 됩니다.이렇게 또 한 마을이 추가됩니다.즉, 저와 형제는 2촌입니다. 부부간 마을 수는 0이므로 부부간 이동 시 자유롭게 마을 수를 더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습니다.그럼 우리가 흔히 쓰는 삼촌, 동생이 되어 볼까요?삼촌한테 가려면 일단 다시”나”에서 출발하고 부모로 이동해야 합니다.그럼 1마을이죠.그리고 부모 형제가 작은 아버지죠?그렇다면 부모의 부모(할머니)에 다시 이동합니다.그럼 2촌네요.부모의 부모(할머니)에서 아이의 삼촌에 내려가시면, 다시 1마을이 추가됩니다.그리고 삼촌은 삼촌이 됩니다.어머니는 외삼촌의 분은 그냥 삼촌이라고 부릅니다만, 촌수는 같습니다.사촌도 마찬가지입니다.사촌은 숙부의 아이니까 삼촌에게서 마타하에 오르자 1마을이 추가되고 4마을입니다.또 아저씨는 3촌 관계에 있는 부모 형제 남성만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실제로 3촌 관계에 있는 사람은 숙부 외에도 숙부의 아내도 해당됩니다.규칙 2에 의해서 부부 간 촌수은 0입니다.그리고 아줌마, 아줌마도 3촌이 됩니다.나의 부모의 부모, 즉 증조부도 촌수에서는 3촌이 됩니다.삼촌은 3촌 관계에 있는 친척 중 나의 부모님의 남자 형제만 가리키는 말이라고 생각하세요.이런 간단한 규칙을 알면 모든 마을 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자,그럼조금더어려운연습문제를풀어볼게요. 제 누나 딸의 시어머님의 아들의 장인어른은 몇 치일까요?일단 제 누나는 저와 2촌인 것을 알고 있습니다.누나의 딸은 부모 자식 관계이기 때문에 1촌이 추가되어 3촌입니다. 그 후 남편은 부부 사이이기 때문에 0촌입니다.그 다음은 엄마라서 한치수가 추가되네요.그 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머니 여동생은 2촌 추가, 아들은 1촌 추가, 아내는 0촌, 아버지는 1촌 추가로 총 8촌이 되겠네요. 참고로 한국은 법적으로 8촌까지의 친족과는 결혼할 수 없다고 합니다.이렇게 복잡한 친척 관계도 마을 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족보 호칭마을 수 계산법을 알았기 때문에 족보에 의한 호칭을 살펴보도록 합시다.족보에 의한 호칭은 규칙만 알면 아주 쉬웠던 위의 마을 수 계산법과 달리 그냥 암기할 수밖에 없어요. 위에서 본 사진 다시 보여드릴게요.친정 기준 호칭입니다.생소한 용어가 보이는데요.내 사촌은 내 사촌과 사촌이라고 부르고 조카는 삶의 질과 질입니다. 큰아버지는 백숙이시고 할아버지는 조래요. 여기에 외가는 호칭이 바뀝니다. 친정과 외갓집을 모두 외우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네요.외가 친척의 호칭은 이렇습니다.아까는 재종형제와 사촌이었던 사촌이 이종형제와 외종형제로 바뀌었군요. 외삼촌은 외숙으로 바뀌었네요.역시 족보에 의한 호칭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오늘은 친척 간 마을 수 계산 방법과 족보 호칭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마을 수 계산은 생각보다 쉬웠지만 호칭은 외워야 할 낯선 용어가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